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도서관 갤러리] 정재호의 Going Home

민석도서관/한 점 미술관

by 도서관놀이 2011. 7. 26. 21:16

본문


♥ 전시위치 : 1층 u-lounge

정재호 / JUNGJAEHO / 鄭在祜

1996 세종대학교 회화과 졸업
1999 세종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졸업
2002 샌프란시스코 아트 인스티튜트 대학원 졸업
               
개인전
1998 관훈 갤러리, 서울
2002 Diego Rivera Gallery, San Francisco
2004 "Fragmentary" 유아트 스페이스, 서울
2005 "Sweet World"- 갤러리 온, 서울
2006 "Made"- 고양미술스튜디오(경기문화재단 후원)
2007 "Euphoria" 세오 갤러리, 서울
2009 "Euphoria" 갤러리 LVS, 서울 (서울문화재단 후원)
                               
단체전
1995 MBC미술대전 "특선", 예술의 전당
1996 동아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1997 중앙미술대전, 호암갤러리
1997 세종미술제, 예술의 전당
1997 MBC미술대전, 예술의 전당
1998 서울현대미술제, 문예진흥원미술관
1998 세종대학원전, 관훈미술관
1998 동아미술제, 국립현대미술관
2001 Continuing MFA Show, Diego Rivera Gallery, San Francisco
2002 Open studios, The Art Explosion, San Francisco
2002 Soho International Art Competition, Agora Gallery, Soho, New York
2002 해외 청년 작가전 , 예술의 전당
2002 San Francisco Art Institute MFA Exhibition, Fort Mason Center, SF
2003 "The LIMN showroom", LIMN Gallery, San Francisco
2004 "Art at Steepletop" 오픈 스튜디오, The Millay colony for the Arts, Auterlitz, NY
2004 "Drawings"  Wall painting project, 세오 갤러리,서울 (기획 공모)
2004 화랑미술제(유아트 스페이스), 예술의 전당
2005 "Unspoken"  갤러리 진선 윈도우 갤러리, 서울(기획 공모)
2006 "Korea artist festival" (갤러리 온), Knapp gallery,런던
2006 시각의 다양성, 세종문화회관
2006 세오 팩토리, 세오갤러리,서울
2006 "Sub", 고양미술창작 스튜디오 오픈 스튜디오, 고양미술스튜디오
2006 청담 미술제, 유아트 스페이스
2006 젊은 모색, 국립 현대 미술관,과천
2006 아시아의 힘, 고양 어울림 미술관
2006 "공연장의 하루“ 공공미술 낙산 프로젝트, 아르코 예술극장 야외 벽화
2006 SEO+LOVE+MEMORY, 세오갤러리
2007 남송 국제 아트 페어(진선갤러리), 성남 아트 센터
2007 Fashion Fever, 그라우 갤러리
2007 아람누리 미술관 개관기념전, 고양 아람누리 미술관
2007 송은 미술 대상전, 인사 아트 센터
2007 Cutting Edge,서울 옥션, 코엑스
2007 크리스마스 숲을 거닐다, 두산갤러리
2008 MINI art bag project [호기심과 감동의 경계]
2008 윈도우전, 갤러리 현대
2008 From Korea, Art Season, 베이징, 중국
2008 The City, 갤러리 이상, 서울
2008 Master and Disciple, 갤러리 소미, 서울
2008 Asian Contemporary and Modern Art, Borobudur auction, 싱가포르
2008 8회 컷팅 에지, 서울옥션스페이스, 서울
2008 신소장품전, 서울시립미술관, 서울
2008 부산 비엔날레, 현대미술전,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2008 Korea International Art Fair(KIAF), 코엑스, 서울
2008 MoA Vision1, 서울대미술관, 서울
               
주요 소장처
서울 시립 미술관
국립 현대 미술관 미술은행
까르티에 컬렉션
아르코 예술극장 야외 벽화
               
수상 및 기타
2004 The Millay colony for the Arts- 레지던시 프로그램, 뉴욕
2005-2006 국립 고양 미술 창작 스튜디오 2기 장기 입주작가
2006 경기문화재단 경기 북부 젊은 예술활동 선정
2007 경기문화재단 국제문화예술교류활동 선정 (버몬트 스튜디오)
2008-2009 Vermont Studio Center Freeman Fellowship
2008 서울문화재단 젊은 예술가 지원(NArT) 선정

Jung, Jaeho
2002 San Francisco Art Institute, San Francisco, MFA
1999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MFA
1996 Se-Jong University, Seoul, Korea BFA

Solo Exhibition
2009 “Euphoria” Gallery LVS, Seoul
2007 “Euphoria” Seo Gallery, Seoul
2006 “Made” Goyang art studio gallery
2005 “Sweet world” Gallery On, Seoul
2004 “Fragmentary” Yoo Art Space, Seoul
2002 Diego Rivera Gallery, San Francisco
1998 Diego Rivera Gallery, San Francisco

Group & Invitation Exhibition
2008 Moa Vision1, Museum of Art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8 Korea International Art Fair, Coex, Seoul
2008 Busan Biennale, Contemporary Art Exhibition, Busan Museum of Art, Busan
2008 New Acquisitions show, Seoul Museum of Art, Seoul
2008 Cutting Edge, Seoul Auction space, Seoul
2008 Asian Contemporary and Modern Art, Borobudur Auction, Singapore
2008 Master and Disciple, Gallery Somi, Seoul               
2008 The City, Gallery I-Sang, Seoul
2008 Window exhibition, Gallery Hyundai, Seoul
2008 From Korea, Art Seasons, Beijing, China
2008 BMW MINI art bag project ,Seoul
2007 Christmas tree show, Doosan gallery,Seoul
2007 “Cutting edge”, Art Auction Show, Coex ,Seoul
2007 Songeun Art Festival , Insa Art Center, Seoul
2007 “Flowers” Aram Nuri Musuem, Ilsan
2007 “Fashion Fever” , Grau gallery, Seoul
2007 Namsong International Art Fair, Jinsun gallery, Seoul
2006 SEO+LOVE+MEMORY, Seo gallery, Seoul
2006 Public Art- Naksan project, Arco Art Theater outer wall painting, Seoul
2006 "Power of Asia, Goyang museum
2006 "Young Korean Artist 2006",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2006 "Chungdam art festival", Yoo artspace, Seoul
2006 “Sub” , International artist studio program Open studio, Goyang studio
2006 “Seo Factory”, Seo gallery, Seoul
2006 “Korea Art Festival”, Knapp gallery, London
2005 “Unspoken” Jinsun Window gallery, Gallery Jinsun, Seoul
2004 “Drawings” Wall painting project, Seo gallery, Seoul
2004 Seoul Art Fair ,Seoul Art Center
2003 “The LIMN showroom”, LIMN Gallery, San Francisco
2002 Open studios, The Art Explosion, San Francisco
2002 Soho International Art Competition, Agora Gallery, Soho, New York

2002 Beauty of Diversity, Seoul Arts Center, Seoul, Korea
2002 San Francisco Art Institute MFA Exhibition, Fort Mason Center, SF
2001 Continuing MFA Show, Diego Rivera Gallery, San Francisco
1998 Seoul Contemporary Art Festival, Fine Art Center, Seoul
1998 Se-Jong Graduate School Exhibition, Kwan-Hoon Gallery
1998 Dong-A Art Festival,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1997 Chung-Ang Art Grand Exhibition, Ho-Am Gallery, Seoul
1997 Se-Jong Art Festival, Seoul Arts Center
1997 MBC Art Grand Exhibition, Seoul Arts Center
1996 Dong-A Art Festival,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Seoul
1995 MBC Art Grand Exhibition- Special prize,

Collections
Seoul Museum of Art
Art Bank of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Cartier Collection
Arco Art Theather out door wall painting               
                       
Awards & etc.
2008 “New Artist Trend”  Fellowship, Seoul Foundation for Art and Culture
2008-2009 Vermont Studio Center Freeman Fellowship
2007 Fellowship for International residency,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006 Gyeonggi North Young Artists Fellowship,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005-2006 National Goyang art studio residency, Goyang, Korea
2004 The Millay Colony for the Arts- Artist in Residence,  Austlitz,NY 

포착된 감성과 경험적 시공간의 혼성회화
김미진 / 예술의 전당 예술감독, 홍익대 교수

정재호의 회화는 주변에서 흔히 보게 되는 도시와 자연의 풍경화다. 그러나 형상으로서의 풍경이 아닌 단순화되고 기호화된 것으로 이미지가 밀리거나 중첩되어 보이는 그림이다. 작가는 그의 작업실을 중심으로 늘 다니던 길(Driving1, Driving2), 그 옆에 세워둔 자동차(Yellow car-4), 창문을 통해 보는 앞의 아파트들(Seokyoung 2-2), 하늘의 구름(Cloud)이라는 주변풍경과 물통에 담겨진 맥주병들(Beer2-1), 배달된 피자박스(Flyer) 등 사람과의 관계를 암시한 일상의 단편적 장면들을 그린다. 한 개의 선택된 이미지는 마치 조각난 거울에 비춰진 것처럼 혹은 기억의 연상 장면처럼 작은 파편으로 서로 다른 시간과 공간을 만들고 있다.

정재호가 그려낸 것들은 지각되고 바로 형상화되면서 기호화시킨 이미지와 이미 그려짐으로 과거로 흘러가버린 혹은 그림 속으로 들어가 버린 기억 속에 연상되어진 것들이 조합된 문화적이면서 도시적인 회화다. 그것은 카메라셔터를 누른 듯 순간적으로 인지한 감각과 오랫동안 관찰되고 성찰되어진 지각이 함께 표현된 작업으로 객관적이면서 주관적 요인을 모두 담고 있는 매우 감각적이면서도 지적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가 순간에 포착한 일상적 풍경은 평면의 단순화된 이미지로 하나의 기호로서 풍경을 탈피하며 언어로 말을 하고 있다. 평면적이며 단순한 도식적 풍경은 피자(Flyer)나 맥주 (Beer2-1)의 상표문구와도 같은 기호로 평준화된다. 그리고 의도적인 직선으로 더욱더 실제라는 균형이 깨지면서 회화의 공간이라는 것을 확인하게 한다. 그림은 시각적 떨림을 만들어내고 시간을 공략해 공간을 깨뜨려나가 무한한 자유영역인 색면추상이라는 시적상황이 되어버린다. 구름(Cloud), 자동차(Yellow car-4), 병(Beer2-1)이라는 실제이미지는 빠르게 수집된 혹은 기억 속에서 착시되고 왜곡되어 지각된 것들의 합체이기도 하다. 그것은 아침저녁 때에 따라, 생각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환영으로 시간을 더한 과거의 형태까지도 개입된 것이다.

정재호의 이전작업에서 보여주었던 벽면 자체를 선으로 테이핑하면서 빠르게 묘사된 기호 세계는 지금 붓 칠로 그려낸 면 중심의 회화로 복귀되었다. 그러나 사각 틀 안의 회화는 상호간의 설치에 의해 실제로 생긴 틈이란 선으로 바깥 세계 역시 회화의 세계로 확장되었음 보여준다

정재호의 회화는 선과 형태로 드러난 상징성으로 마치 그림이지만 소설과 애니메이션의 텍스트를 읽어나가는 듯하다. 보이는 풍경과 반대로 비친 풍경, 의도된 선으로 파편화된 이미지는 반복 스캐닝되어 분석적이며 디지털적 사유를 뿜어대고 있다.
이미지는 마침내 이미지로서만 작용되고 완전히 회화 속으로 빠져 들어가 선, 면 색채의 조합으로 추상적이게 되고 만다. 정재호의 풍경 속 요소들은 하나의 아이콘이 되었으나 그 아이콘의 형태를 선으로, 중첩으로, 파편으로, 흩트려 결국 감정의 골로 빠져들게 한다. 정재호는 감성마저도 매우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접근하였고 결국은 그것을 끌어내었다. 의도적이며 계획적인 프로세스로 혼란스럽고 규정되지 않은 범주를 만들어버린 것이다. 실제 그를 둘러싼 세상에서 그가 느낀 순간적 감정과 시간과 공간의 변화를 통해 경험한 내면을 동시에 표현한 인간과 세계, 모두에 관한 미메시스라고 본다.

류한승 / 미술평론가, 국립 현대미술관 학예 연구사

정재호는 미술의 어떤 한 요소를 변색시키거나 이질적인 것을 교차시키는 색다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간 그는 여러 장르를 넘나들며 통념으로부터 비껴가는 자유로움을 보여주었으며,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를 적극적으로 사유하였으며, 미술의 결과물뿐만 아니라 그 창작과정에도 특별히 심혈을 기울였다. 그러한 그의 특징은, 미술계에서 그의 존재를 알렸던 월 페인팅(wall painting), 이른바 ‘시트지 설치 작업’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다. 2004년 미국 유학을 마치고 귀국한 정재호는 미술에선 다소 생소한 시트지라는 독특한 재료를 큰 벽면에 부착함으로써 시트지 특유의 인공적이고 강렬한 색채로 공간을 단번에 사로잡았으며, 나아가 평면과 입체, 회화와 설치, 영속성과 일시성 등의 문제를 제기하였다. (과거 그가 시트지 설치 작업만 했던 것은 아님)

“유포리아(Euphoria)”라는 제목의 이번 개인전은 유화로 제작한 회화, 시트지로 만든 월 페인팅, 디지털 드로잉 등 크게 3가지 경향으로 나누어지는데, 아무래도 가장 눈에 띠는 것은 12점이 출품된 회화 작업이다. 
  
정재호의 회화는 ‘기억’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한다. 보통 사람들이 회상하는 과거의 기억은 순수하지 않다. 그것을 회상하는 순간의 상황과 관심에 따라 기억의 내용이 상당 부분 왜곡된다. 과거의 한 시점으로 정확하게 돌아가는 것은 불가능하고 이후 일어났던 사건들이 기억에 첨가되기 마련이다. 즉 기억은 객관적이기 보다는 주관적이고 자의적이다.

우리 주변의 모습을 그리는 정재호는 먼저 일상에서 순간적으로 멋있다고 느끼는 광경을 카메라에 담는다. 이어 그 사진 중 일부를 작업의 소재로 사용한다. 선택된 사진은 전적으로 그 순간 작가의 마음에 달려있다. 사진을 찍었을 때와 사진을 선택할 때의 느낌은 변할 수밖에 없는데, 그 이유는 외부 환경 혹은 개인의 경험에 의해 그 이미지에 대한 작가의 감정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그림을 그릴 때도 사진을 보고 똑같이 그리지는 않는다. 당시 작가의 내면 상태에 따라 이미지가 조합되는 방식도 달라진다. 여기에 논리적 구조가 있는 것은 아니며, 단지 작가의 엉뚱하고 뭉툭한 기억에 의지할 뿐이다. 게다가 관람객이 작품을 접할 때도 그의 경험과 관심을 바탕으로 작품을 감상하게 된다. 따라서 정재호는 사진 찍을 때의 느낌을 회화적으로 재현하며, 동시에 현재 느끼는 작가의 감정, 호흡, 리듬 등도 가급적 살리고자 한다.

정재호는 사진 이미지를 모티브로 삼지만, 결코 사물의 투명한 묘사가 목적이 아니다. 그는 형상을 단순화·패턴화하고, 회화적 붓자국을 남기고, 차갑고 인공적인 색채를 부각시키고, 유리에 반사된 외양을 강조하는 등 여러 장치를 통해 구상회화 안에서 장식성과 추상성을 추구하고 있다. 더불어 에너지가 넘치는 그의 그림을 자세히 살펴보면 표지판, 교통콘, 차양, 파라솔 등을 발견할 수 있다. 사실 이 물건들은 도시에서도 특이한 색채로 사람들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들이다. 꽃, 잎, 나무 등과 대비되는 이 인공물은 사람을 경계시키며 내적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이번 전시의 또 다른 특색은 정재호가 첫선보이는 ‘디지털 드로잉’ 작업이다. 회화와 같이 이미 찍어놓았던 사진을 활용한다. 그는 사진을 컴퓨터에 옮긴 후 포토샵의 다채로운 기능을 이용하여, 마치 드로잉처럼, 선과 형태를 지우거나 첨가하여 이미지를 계속해서 변형시킨다. 최종 목표 이미지가 원래부터 정해져 있지 않으며, 수많은 수정 작업에 의해 이미지의 생성과 해체가 반복되면서 새로운 이미지가 탄생한다. 이러한 과정은 컴퓨터 프로그램이라는 디지털 안에서 이루어지지만, 작가의 수공성이 요구되므로 오히려 아날로그라고 칭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렇지만 회화의 선긋기와 포토샵의 선긋기가 다르듯 자연스럽게 디지털의 뉘앙스가 나타난다. 또한 개인의 기억이 회화로 변환될 때 기억은 캔버스와 물감이라는 질료를 만나면서 구체화되는데, 기억을 포토샵으로 처리하면 기억이 질료를 만나기 전까지의 단계에서 많은 것을 실험할 수 있다고 그는 말한다. 왜냐하면 포토샵에서 만들어지는 디지털 드로잉은 물리적 부피와 질량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기억이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가진 회화로 전환되면 이미 형성된 회화적 담론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가상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드로잉을 하는 것은 우리 머릿속에서 자유롭게 과거를 회상하는 것과 비슷한 방식이 아닐까?

정재호는 이번 전시를 위해 월 페인팅 를 7일 동안 직접 설치하였다. (전시가 끝나면 스스로 월 페인팅을 제거) 회화를 전공한 그는 작업실에서 그린 그림이 갤러리라는 타 장소에 걸릴 때 생길 수 있는 공간적 괴리감을 주목하였다. 그에게 있어 현장감은 작가와 관객이 소통하는 중요한 접점 중 하나이다. 또한 월 페인팅은 한정된 캔버스를 벗어나 거대한 공간을 사용하므로 해방감, 공간감, 우연성, 카타르시스를 전달한다. 물론 영속적이지 못하다는 숙명도 지닌다.

시트지로 제작한 그의 월 페인팅은 회화의 물감과 비견될 정도로 인상적인 색채를 발산한다. 그는 잡지의 광고 이미지 및 상업 로고를 차용하여 월 페인팅을 구성하였기에 더욱더 자극적이고 복잡한 형상을 표현할 수 있었고, 비록 구상적 이미지라 하더라도, 그 결과 메인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의 경계를 쉽게 구분하기 어렵다.

한편 정재호는 지난해 부산비엔날레에서 시트지로 벽에 월 페인팅을 설치한 후, 시트지로 만든 형상 사이에 캔버스(회화)를 걸었다. 회화에서 확장된 월 페인팅에 다시 회화가 비집고 들어가 있는 묘한 구조로 회화와 월 페인팅의 필연적 연관관계를 설명한다. 그런데 이번 개인전에서 그는 시트지 형상 안에 디지털 드로잉을 끼워 넣었다. 시트지와 디지털 작업에서 발생하는 이미지의 일시적 생성과 소비는 서로 조응을 이루며 창작과정에서 있었던 작가의 역동적 행위를 다시금 드러낸다.

‘유포리아’는 의학적으로 쾌감과 행복과 관련된 감정 상태를 지칭하며, 속어로는 마약에 의한 일시적인 도취감을 의미한다. 어떤 한 기준에 얽매이지 않는 그는 일상에서 느끼는 순간적 감정을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입체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시지각적 공간(전시장)을 꾸민다. 관객이 전시장에서 그의 작업을 마주하면서 행복도취감을 얻지 못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가 풀어놓은 미묘하고 섬세한 예술적 감성은 아마도 전시장을 나서는 관객의 마음에 오랫동안 자리할 것이다.               

Ryu Hanseung / Art Critic, Curator,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Korea

Jung Jae-ho in his distinctive work modifies elements of art and blends aspects of heterogeneity. Jung works away from generally accepted ideas, and blurs the boundaries of several genres. He contemplates positively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images, specially highlighting not only its result, but also its process.

Jung’s work has its origin in his wall painting, or namely work using pre-pasted wallpaper, through which his presence has become known to the art world. After completing study in the USA, and returning to Korea by 2004, Jung engaged in works conflating space with artificiality, using intense hues found in pre-pasted wallpaper, on huge walls, raising issues of two and three dimensionality; painting and installation; eternity and temporality. (But Jung did not always work in pre-pasted, wallpaper work.)

This solo-show “Euphoria” is divided largely into three aspects: oil painting, wall painting, (rendered on pre-pasted wallpaper), and digital drawing. From these, 12 oil paintings particularly stand out: Jung’s painting begins from his questioning memory. Past memories of common people are impure, he finds, as they are distorted considerably in accord with their situation and concerns in the moment they are recalled. It is impossible to accurately return to a point of time and action because it is all too often added with other memories, he has discovered. Memory is thus subjective, arbitrary, and not objective for Jung.

Jung, whose work depicts our surroundings, captures scenes he momentarily feels are impressive, in photographs, some of which he uses for his work. The photographs he chooses reflect the state of his mind when he selects them. That said, it is inevitable what he feels when photographing differs from what he feels when choosing the photographs. This is why his feeling for some becomes different, according to his immediate exterior environment, or his personal experience.

When drawing, Jung does not copy his photographs exactly; instead he combines several different images in pursuit of his inner state. Through this process, Jung depends on vague memories, not logical structures. Viewers can also appreciate his works of art, based on their own experience and concerns. Jung represents what he feels when taking photographs in a painterly manner, trying to revive emotions, breath, and rhythms that he feels in the present.

Jung’s painting does not aim to be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objects, despite its embracing photographic motifs. Instead, it pursues an ornamental quality; an abstraction, simplifying and patterning form, leaving painterly brush marks reinforcing determined but artificial hues, like focusing on appearances reflected in a mirror. On close examination, we can discover in his energetic paintings signage, traffic-cones, window blinds, and parasols, common objects reviving our attention within a sometimes bland urban environment with their idiosyncratic colors. In contrast with flowers, trees, and leaves, these paintings of man-made objects make people alert, and increase their inner tension.

This solo show is also characterized by Jung’s digital drawing work he first presents. Jung also exploits the photographs he has taken, as if in his painting work. By using diverse functions of the Photoshop, he digitally modifies these photographic images, adding or obliterating lines and forms like drawing. There are no images he ultimately pursues and all images are innumerably revised through the process of renewal and destruction. This process is digitally made by using some computer programs but can be called analogue work because it demands the artist’s manual work in some degree. Just as line delineation in painting differs from line drawing in the Photoshop, a digital nuance is naturally sensed in Jung’s work.

When one’s individual memory is transformed into painting, it meets the canvas and paints, but if this memory is addressed by Photoshop, we may conduct a wide variety of experiments before the memory meets any material, he explains. That is because the images digitally modified by using the Photoshop have no any physical volume and mass. When the memory is converted into painting, it cannot help but be influenced by already established discourse on painting. If so, is drawing freely in a virtual space like recalling past memories unrestrictedly in our minds?

For this show, Jung executed wall painting Euphoria by himself for seven days. He notes a spatial gap that may arise when paintings produced in a studio are displayed at a gallery space. A sense of presence is a critical contact point where the artist communicates with viewers. As his wall painting usually occupies enormous space, it brings about a sense of space, a sense of freedom, spontaneity, and catharsis. However, it is destined never to be perpetual.

Jung’s wall painting rendered by pre-pasted wallpaper emits impressive hues often compared with the colors of paints. He is able to render more stimulating, intricate images through an appropriation of advertisement images and commercial logos. Even if they are figurative, it is hard to distinguish them from their background scenes.

Jung displayed canvas paintings between the images rendered with pre-paste wallpaper at the Busan Biennale last year, thereby accounting for the inevitabl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wall painting in a weird structure which shows the insertion of painting into wall painting. He inserts digital drawings into pre-pasted wall paper images. The temporary formation and consumption of images respond to each other, revealing the artist’s dynamic action for work creation.

The term ‘euphoria’ refers medially to an emotional state associated with happiness and pleasure and also means a sense of intoxication caused by drugs. He presents a visual perceptual space the viewers may undergo by processing momentary emotions he feels in his daily life in diverse manners. When appreciating his pieces at the venue, viewers may not feel any euphoria but his subtle, sensitive artistic sensibility is settled in their minds for long.

 

관련글 더보기